3장학금·학자금

2메뉴열기

2토토사이트

2토토사이트

의과대학 김동현 교수 토토사이트 신고보상팀

마우스 대장염 모델에서 NFAT5가 장 상피 재생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기전 규명

2025. 7. 29.

[토토사이트 신고보상필요성]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장에서 염증 반응이 재발과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질환으로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에 의해 국내 환자가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다. 주요 발병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세포 조절 장애,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이 있지만, 하나의 원인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성에 의해 치료 과정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하여 발병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이 새로운 IBD 치료제 개발에 중요하다. 본 토토사이트 신고보상에서는 IBD의 복합적인 발병 기전 토토사이트 신고보상의 하나로 삼투압 환경에서 세포를 보호하는 전사 조절 인자인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NFAT5) 발현이 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토토사이트 신고보상성과/기대효과]

해당 토토사이트 신고보상에서는 NFAT5 단백질의 발현이 장 상피 세포의 분열과 분화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혔고 NFAT5 발현의 결핍은 마우스 모델에서 대장염을 악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NFAT5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의 발현을 통해 장 상피 세포의 생존과 분화를 촉진시키고 여러 종류의 장 상피 세포의 역할로 인해 장내 미생물 균형이 조절됨으로서 건강한 장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NFAT5 발현에 문제가 생기면 장내 미생물의 변화가 일어남과 동시에 장 상피 세포의 보호적인 기능들이 상실되어 결과적으로 만성 대장염 발병에 취약하게 된다.

이번 토토사이트 신고보상를 통해 NFAT5가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장 상피 세포의 내제적 보호 인자임을 밝혀내었다. 더 나아가, 전통적인 T 세포 매개성 대장염 발병 메커니즘이 아닌 장 상피 세포 기능의 상실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로 인하여 대장염이 발병할 수 있는 매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IBD 환자들의 지속적인 관해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피 세포 강화와 장내 미생물을 타깃으로 하는 치료법의 가능성도 제시한다.

3공지사항

토토사이트 의과대학 김동현 교수 토토사이트 신고보상팀은 NFAT5라고 하는 특정 단백질이 장내 미생물 구성을 조절함으로써 장상피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해당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면 크론병이나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이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하였다.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장에서 만성 염증 반응이 재발과 호전을 반복하는 질환으로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에 의해 국내에서도 환자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해당 질환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세포 조절 장애,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발병 원인의 복잡성으로 의해 치료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작용 기전으로 인해 염증성 장질환이 생기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인 염증성 장질환 치료에 중요하다.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NFAT5)는 세포가 삼투압이 높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 삼투압을 높이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자 단백질이지만 우리가 먹고 마시는 음식과 물이 통과하는 소화기관에서의 어떠한 역할을 할지는 알려진 바가 없었었다.

본 토토사이트 신고보상팀은 장에서의 NFAT5의 기능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해 본 결과 장의 표면을 엎고 있는 상피 세포의 분열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장염 동물 모델을 통해서는 NFAT5 발현의 저하가 대장염을 악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전사인자인 NFAT5가 단백질의 항상성 유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열충격단백질(heat shock protein) 70 (HSP70) 발현을 유도한 것이 상피 세포의 생존과 분화를 촉진에 관여한다는 기전을 밝혔으며, 이로 인해 분화된 상피 세포가 장관 내부로 분비하는 물질에 차이가 나는 상황이 장내 미생물의 종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정상적인 NFAT5 단백질의 존재로 인해 결정되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장벽 기능에 관여하는 구조물을 튼튼하게 유지시키는 쪽으로 기여하는 반면, NFAT5의 발현이 감소했을 때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장벽을 느슨하게 조절하여 장내 미생물이 인체 내부로 쉽게 침투함으로써 염증성 장질환 발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본 토토사이트 신고보상는 기존에 몰랐던 NFAT5의 새로운 기능을 밝혔을 뿐만 아니라 해당 단백질의 발현이 몸안의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또한 어떠한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을 가졌느냐가 염증성 장질환 발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토토사이트 신고보상에서는 음식과 같은 환경적인 요소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이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서도 변화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절되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염증성 장질환 발병에 중요하게 기여한다는 내용으로 유전에서 환경까지 기존에 알려진 염증성 장질환의 복잡한 발병 원인을 설명하는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복잡한 원인으로 인해 온전한 치료가 쉽지 않은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에 있어 NFAT5 단백질의 발현량을 중심으로 한 치료 전략 수립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보여진다.

이번 연구는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창의시스템의학토토사이트 신고보상센터 김완욱 교수(류마티스내과) 토토사이트 신고보상팀과의 협업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기초의학 분야 국제적인 학술지인 저널 오브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IF 13.6)에 2025년 7월 15일 온라인 선 게재(In-Press Preview) 되었다.

41본문 영역 바로가기

NFAT5 dictates crosstalk between intestinal epithelial regenerative capacity and microbiota in murine colitis models

Se-Hyeon Park, Dae Hee Cheon Yu-Mi Kim, Yeji Choi, Yong-Joon Cho, Bong-Ki Hong, Sang-Hyun Cho, Mi‑Na Kweon, Hyug Moo Kwon, Eugene B. Chang, Donghyun Kim, and Wan-Uk Kim
(Journal of Cinical Investigation, In press, http://doi.org/10.1172/JCI183093)

전사인자인 NFAT5가 장 표면을 덮고 있는 상피 세포의 재생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분화한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 물질을 통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을 조절되고, 이러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장벽을 튼튼하게 함으로써 소화기관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다.

4외국어교육프로그램
  • 42본문 영역 바로가기42메뉴열기 : 원래 상태(정상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
  • 42본문 영역 바로가기4토토사이트 신고보상자정보(PURE) : DNA 유전정보를 바탕으로 messenger RNA (mRNA)를 만들어내는 과정(전사, transcription)을 매개하는 단백질
  • 42본문 영역 바로가기4국가지원토토사이트 신고보상센터 : 인체가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덮고 있는 세포
  • 42본문 영역 바로가기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 microbiota) :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집 (전체 미생물들)

4학술토토사이트 신고보상지원

aaaaaaaaaaaaa
NFAT5의 기능에 대한 모식도. NFAT5는 HSP70 발현을 야기하며, 이는 장 상피 세포의 분열 및 분화를 촉진하고, 이로 인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이 조절된다. 이러한 정상적인 상태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은 장 방벽을 튼튼하게 유지시킨다 (장 항상성 유지). 그에 반해 NFAT5/HSP70 발현의 감소는 이러한 장 표면이 느슨해지면서 염증성 장질환 발병에 취약해진다.